Intro ducing the Global Campus in IFEZ
IFEZ 내 글로벌캠퍼스를 만나다 <한국조지메이슨대학 편>
2014년 봄학기에 송도국제도시 글로벌 캠퍼스에서 개교한 한국조지메이슨대학은 전 대표였던 로버트 메츠(Robert MATZ) 박사 후임으로 조슈아 박(Joshua K. Park, 47) 법학 박사를 지난해 8월 5대 대표로 취임했다. 국내외에서 다양한 경륜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국제적, 역사적, 문화적 지평을 넓히고 있는 신용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 국제협력특보는 조슈아·박 한국조지메이슨대학 대표를 만나 개교 11년을 맞는 한국조지메이슨대학의 현황과 새로운 설계에 대해서 대담을 나누었다.
SPECIAL INTERVIEW
신용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 국제협력특보
조슈아·박(Joshua K. Park, 47)
한국조지메이슨대학 대표
신용석 대표님의 학문적 배경과 인천 캠퍼스 대표로 취임하시기 전 경력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시오.
조슈아·박 저는 7살 때 부모님들을 따라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초등학교부터 미국에서 공부했습니다. 캘리포니아에서 포모나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 로스쿨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귀국하였고, 교육에 뜻을 품게 되었습니다. 인하대학교에서 미국법 강의를 시작으로 강단에 서게 되었으며, 중국 북경 외국어 대학교와 한국전력국제원자력 대학원(KINGS) 초빙교수로도 근무했습니다. 대전에 있는 우송대학교 솔브릿지 국제경영대학에 2010년부터 설립 초창기 교원으로 합류하였고, 이후 학장으로 취임하면서 국제적 경쟁력을 지닌 학교로 성장시키는데 힘썼습니다. 제가 솔브릿지에 재임하는 동안 국제경영대학 발전협의회(AACSB)의 재인증을 받고 동 기관 글로벌 혁신상을 두 차례 수상했으며 전세계 80여개국에서 1,300명의 학생이 재학하게 되어 다양성과 혁신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신용석 조지메이슨대학교는 1972년도에 개교된 비교적 젊은 대학이지만 미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대학입니다. 조지메이슨대학이 내세울 장점과 특징은 무엇인지요.
조슈아·박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 근교에 자리잡고 있는 조지메이슨대학교는 카네기재단이 선정한 “R1” 최상위 연구중심대학이며 버지니아주에 있는 대학 중 가장 높은 연봉을 받고 일하는 인재들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2021년도에는 미국의 개교 50년 미만인 100개의 대학 중 1위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현재 130개의 국가와 미국의 50개 주 출신 4만명 이상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습니다.
신용석 조지메이슨대학이 위치한 페어팩스 지역에 한국인들도 많이 거주하고 있어 저도 몇차례 찾아간 적이 있습니다. 한국 커뮤니티와 특별한 관계가 있는지요.
조슈아·박 버지니아 북부 페어팩스 지역은 한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대표적인 곳입니다. 한국캠퍼스가 개교하는 과정에서 미국 정치인들과 교민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고 지금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조지메이슨대학의 주요 과업은 인천과 워싱턴 D·C를 연결하는 가교역할이며 인천지역의 중소기업들이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기도 합니다. 미국 캠퍼스의 경영대학의 혁신창업 지원센터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용석 지미 카터 대통령의 평소 신념과 참여로 창설된 『카터 분쟁분석 및 해결학과』는 국제적으로도 명성있는 학과입니다. 창설배경과 졸업생들의 취업상황이 알고 싶습니다.
조슈아·박 『카터 분쟁분석 및 해결학과』는 그의 평화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학과로 미국 내 해당 분야 1위로 꼽히는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실제 갈등상황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분석하며 해결할 수 있는 실무적 역량을 배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국제기구, NGO, 정부기관 등에서 팀워크와 협상능력을 발휘하며 활동 중에 있고 국내외 저명한 대학원에도 진학합니다.
신용석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파격적인 관세정책으로 국제분쟁이 다각적으로 전개되고 있고 한국에서도 이념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데 한국조지메이슨대학의 『분쟁분석 및 해결학과』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슈아·박 좋은 견해입니다. 어떤 분쟁이던 당사자간의 문제 제기와 해결 시도는 한계가 있지만 외부의 전문성을 지닌 인사들이 개입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생전에 한국에 관심이 많았고 퇴임 후에는 클린턴 대통령의 특사로 북한을 몇차례 방문하고 한국에서는 저소득층 주택건설 현장에도 참여했던 『카터 분쟁분석 및 해결학과』의 역할과 의미가 남다를 것 같습니다.
신용석 메이슨 코리아에 입학하기 위한 자격과 절차는 어떠한가요.
조슈아·박 신입생 지원은 국내외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졸업자라면 가능하고 필요한 서류로 ▲온라인 입학지원서 ▲영문 성적 및 졸업증명서 ▲공인 어학성적 ▲영문 자기소개서를 제출하면 3~4주일 내에 합격여부를 통보받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부터는 인천광역시 교육감 추천을 받아 3명의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였으며 앞으로도 다각적인 방법으로 인천지역의 더 많은 인재들을 발굴하기를 기대합니다.
신용석 현재 한국조지메이슨대학의 학생수와 외국인 비율을 알려주십시오.
조슈아·박 학생수는 1천여명을 상회하고 있으며 외국인 학생은 15% 정도입니다. 미국, 네팔, 독일, 캐나다, 미얀마, 영국, 브라질, 이탈리아, 러시아, 필리핀, 모로코, 중국, 나이지리아, 몽골, 체코, 오스트리아, 인도,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매우 다양합니다. 27명의 한국인 교수와 42명의 외국인 교수가 총 6개 학부과정과 2개 석사과정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신용석 대학차원에서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에 어떻게 대응하며 준비하고 있습니까.
조슈아·박 한국조지메이슨대학은 데이터 과학과 컴퓨터 게임디자인 전공을 중심으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해에 설립된 한국 기능성 게임 연구소(KSGI)는 미국 캠퍼스의 기능성 게임 연구기관의 확장기관으로 게임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스타트업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목표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한국 조지메이슨대학은 한·미간 교육 및 연구협력을 통해 한국의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신용석 마지막으로 한국 중앙정부와 인천광역시에 요망사항이 있으시다면.
조슈아·박 우선 정부와 인천시 그리고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의 꾸준한 지원에 감사드리고 이같은 지원으로 글로벌 캠퍼스에 외국대학들이 안착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국내 대학들과 경쟁하는 관계가 아니며 인천의 인하대, 인천대, 재능대와는 새롭게 MOU를 맺고 다각적인 협력관계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외국학생들이 미국 대학으로 직접 입학하면 단순히 미국만 경험하지만 특히 아시아계 학생들은 한국을 경험하고 미국으로 가는 것이 쌍방에 득이 되기에 비자발급을 좀 더 원활하게 배려해 주었으면 합니다.
신용석 한국조지메이슨대학의 발전을 기원드리며 성실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이달의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