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EZ 내<글로벌캠퍼스>를 만나다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의 도약
한국뉴욕주립대학교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Korea)
대한민국 최초로 개교한 미국 대학교인 한국뉴욕주립대학교. 학생들은
Stony Brook University(SBU)의
컴퓨터과학, 기계공학, 응용수학통계학을 포함한 6개의 전공과정과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FIT)의 패션디자인학 및 패션경영학의 2개의
전공 과정에서 학습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국제적,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지평을
넓혀주고 있는 신용석 IFEZ 국제협력특보와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아써리(Arthur H. Lee) 총장이 만나 대담을 나눴다.
Q 한국뉴욕주립대학교는 2012년 인천 글로벌 캠퍼스에 최초로 개교한 외국대학입니다. 개교 12주년을 축하드리며 한국에 최초로 개교하게 된 동기를 알고 싶습니다.
한국뉴욕주립대학교는 2012년 한국에 최초로 개교한 미국 대학교이자 인천글로벌캠퍼스에 최초로 유치된 외국 고등교육기관입니다. 인천글로벌캠퍼스 프로젝트는 한국 정부와 인천광역시가 유학 수지 개선과 국제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해 주도한 사업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이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부상하기 위한 교육 및 연구 인프라로 설계되었습니다. 해외 유수 대학을 유치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연구 중심의 국제 교육 허브로 성장하는 것이 사업의 핵심입니다.
한국뉴욕주립대학교의 설립 배경에는 한국 ICT의 대부로 알려져 있는 오명 전 부총리를 비롯한 많은 분들의 열정과 노력이 있었습니다. 특히, 오명 박사는 모교인 스토니브룩대학교가 해당 사업에 대한 잠재력을 이해하고 유치결정을 내리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는 인천글로벌캠퍼스 프로젝트가 가시화될 수 있는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Q 현재 한국뉴욕주립대에는 어떤 대학들이 있는지요.
미국 뉴욕주립대 시스템에는 총 64개 대학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미국 동부 최고 수준의 연구 중심대학인 스토니브룩대학교(SBU)와 세계 1위 패션 명문 대학인 패션기술대학교(FIT)가 인천 송도에 개교해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시스템 안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Q 구체적으로 어떤 학과들로 나누어져 있습니까?
스토니브룩대학교는 컴퓨터과학과, 응용수학통계학과, 기계공학과, 전자정보공학과, 기술경영학과, 경영학과 등 6개 학과를 운영 중입니다. 빅데이터와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는 ‘컴퓨터과학과’와 ‘응용수학통계학과’, 초전도체·반도체·자율주행차·로보틱스 등과 관련된 ‘기계공학과‘와 ‘전자정보공학과’, 아울러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기술경영학과’와 ‘경영학과’까지 총 6개의 학과의 경쟁력 있는 교육과정이 조화롭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또한 패션기술대학교에는 패션디자인학과와 패션경영학과 등 2개의 학과가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 캠퍼스에서 준학사과정(1·2학년 과정)을 수료하고 미국 뉴욕 또는 이탈리아 밀라노·피렌체 캠퍼스에서 학사과정(3·4학년 과정)을 수료해 학사학위를 받을 수 있습니다.
Q 교직원과 학생 수는 몇 명인가요. 학생들의 출신국과 비율은 어떤지요.
2024학년도 가을학기 기준, 167명의 교수 및 직원이 1,449명의 학생들의 학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난 12년 간 한국뉴욕주립대학교를 거쳐 간 학생들의 누적 출신 국가 수는 69개이며 2024학년도 가을학기 기준 재학생들의 출신 국가 수는 44개국입니다. 스토니브룩대학교의 외국 학생 수는 126명(10.6%), 패션기술대학교의 외국 학생 수는 39명(15.2%)으로 우리 대학 전체 비율 중 11.4%를 차지합니다. 이는 인천글로벌캠퍼스 전체 외국인 학생 중 약 44%를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Q 입학 절차와 선발 기준이 궁금합니다.
스토니브룩대학교는 봄 학기와 가을 학기, 1년에 2번 입학전형을 실시하고, 패션기술대학교는 가을에만 전형을 시행합니다. 필수서류로는 영문 고교성적증명서, 자기소개서, 추천서, 공인영어성적 등이 있으며, 입학사정관제에 기반하여 미국캠퍼스에서 학생선발을 결정합니다. 일반전형,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중심 종합 심사로 진행되는 수능우수자전형, 공인영어성적 미충족 시 진행하는 조건부전형 등 다양한 입학전형을 제공합니다.
Q 졸업 후 취업 상황은 어떻습니까.
졸업생들의 진로는 학교 특성에 따라 취업과 진학으로 나뉩니다. 2023학년도 봄 학기 기준 스토니브룩대학교는 약 84%의 취업률을 보였고 이 중 50% 이상의 졸업생이 미국 등 해외에서 취업하였습니다. 스토니브룩대학교 학생은 학부과정 4년 중 3년을 한국 캠퍼스에서, 1년을 미국 캠퍼스에서 수학하는데 미국 캠퍼스에서 4학년을 수학한 학생의 경우 미국에서 취업할 수 있습니다. 이 제도를 통해 많은 졸업생들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Facebook), 아마존, 모건스탠리, 딜로이트 등 굴지의 미국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하버드, 스탠포드, 코넬, 콜롬비아, 밴더빌트 등의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세계적인 연구소인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에 입사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패션기술대학교의 경우 2023학년도 봄 학기 기준 88%의 취업률을 보였고, 이 중 약 81%의 졸업생은 미국 또는 이탈리아 캠퍼스에서 학사과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 외 취업을 하는 학생들은 디올, 루이비통 등과 같은 명품 브랜드 등 국내외 패션업계로 성공적인 취업을 하고 있습니다.
Q 한국 중앙정부의 교육부와 인천광역시 그리고 IFEZ에 요망 사항이 있으신지요.
먼저, 한국뉴욕주립대학교는 외국 고등교육기관으로서 그간 지역 시민, 기관 및 기업들로부터 외국교육기관의 특화된 다양한 평생교육과정을 제공해줄 것에 대한 요청을 받아왔습니다. 성인 역량 향상을 위한 비학위과정 및 맞춤형 학위과정 개발 및 제공, 기업 수요 맞춤형 재교육 및 향상교육 과정 개발, 지역주민 대상 평생교육 확대를 위한 지자체와의 협력이라는 3대 발전 방향에 기반한 발전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평생교육법 개정을 통해 외국 고등교육기관도 대학에 특화된 평생교육과정을 지역사회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부에서 제도적인 지원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IFEZ에서는 경제자유구역에 입주한 다양한 기업들과 대학들이 산학협력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연계해 주는 중간 교량 역할을 지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를 통해 대학과 기업 간의 상호 협력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함께 많은 외국인 인재들이 대학에서 배출되어 인천 지역사회에 자리 잡고 성장할 수 있도록 외국인 지원 프로그램 등도 다양하게 마련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특히, 현행 비자 제도로 인해 발생하는 취업 제한 등의 비자 문제가 경제자유구역 내에서 제도적으로 완화되기를 희망합니다. 이를 통해 국제적인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외국인 인재들의 국내 정착을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유치 대학의 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충분한 학생 기숙사 확보와 같은 캠퍼스 정주 환경 개선이 필요합니다. 특히, 현재 학생 기숙사 부족 문제가 심각한데, 이는 외국인 학생 유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위와 같은 요망 사항들이 반영되어 대학과 지역사회가 함께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Q AI관련 기술 및 연구가 국내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한국뉴욕주립대학교는 이 분야와 관련되어 현황이 어떠하며,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스토니브룩대학교는 올해 9월 지난 2018년에 설립한 단과대 수준의 AI 연구소(Institute for AI-driven Discovery and Innovation)를 확장한 새로운 AI 연구소(AI Innovation Institute)를 개원하였고 뉴욕주가 글로벌 AI 연구 및 개발의 리더로 자리 잡기 위한 혁신 사업으로 4억 달러 규모의 미국 최초 공공-민간 파트너십인 엠파이어 AI 연구 컨소시엄(Empire AI Consortium)에도 총 7개 창립연구기관 중 하나로 참여하여 해당 분야 관련 연구에서도 두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AI 연구에 대한 스토니브룩대학교의 이러한 행보에 발맞춰, 한국뉴욕주립대학교도 스토니브룩대학교 한국캠퍼스에 AI 연구소를 설립하고 각종 연구교류를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 중에 있습니다.
Q 현재 한국뉴욕주립대학교를 이끌고 계신 총장님의 교육철학과 향후 비전(계획)을 듣고 싶습니다.
현재 한국뉴욕주립대학교는 혁신적인 외국 고등교육기관으로 성장하기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재창학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공동번영이라는 가치 아래 학생성공, 교육의 질 향상, 연구 활성화, 글로벌 교육인프라 구축이라는 4대 핵심전략을 수립하였고 대학 내실화 및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맞춰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교육과정과 각종 학사지원체계의 고도화를 꾀하는 가운데 글로벌한 캠퍼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학부생들에게 다양한 연구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차별화된 교육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낮은 교수대 학생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스토니브룩대학교와 패션기술대학교 각각 1:9, 1:6). 최근 학업환경 증진을 위한 다년도 환경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도서관 리모델링, 캠퍼스 전반에 걸친 학업·연구·업무·휴게공간의 재배치 및 리브랜딩, 각종 기자재 교체·확충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또한, 2012년 설립부터 유능한 개발도상국 출신 학생들을 선발하여 교육을 지원해주는 공동번영장학금 사업을 지속·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외국인 학생 유치 확대 계획의 일환입니다. 누적 69개국 출신의 학생이 한국뉴욕주립대학교를 거쳐 갔으며 향후 국내외 다양한 기관들과 협력을 통해 외국인 학생 수와 출신 국가 수를 늘려 나갈 계획입니다.
앞으로의 10년은 우리 대학이 안정성을 넘어서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연구 환경 개선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을 계획입니다. 앞으로도 전 교직원들이 신뢰와 책임을 다해 최선의 노력을 이어가고, 융합 교육(STEAM) 분야에 특화된 교육과정이라는 강점을 살려 지금보다 더 많은 학생에게 교육의 기회를 주고 싶습니다.
이달의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