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인천스타트업파크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인 ‘2023년 스케일업(Scale-Up) 챌린지랩’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19일 밝혔다.
○ 인천스타트업파크는 올해 총 32개 스타트업을 지원해 △매출 : 241억원, △수출 : 79억원, △고용 : 140명, △특허 : 85건, △투자유치 48억원의 성과를 거뒀다.
○ 인천경제청이 주관하고 인천테크노파크가 운영중인 이 프로그램은 인천스타트업파크와 특화 인프라를 보유한 서울대, 세종대, 연세대, 유타대, 인천대, 인하대, 청운대 등 7개 대학이 4차 산업기술 기반 및 바이오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것이다.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서울대(미래모빌리티 분야)는 시흥캠퍼스에 구축된 자율주행테스트트랙을 활용해 물류 TMS솔루션(배송경로 및 조건에 따른 배차 최적화 솔루션)을 비즈니스 모델로 하는 ㈜로비고스에 자율주행차 기반 실시간 센서 통신 관련 기술지원과 함께 서비스 개발을 지원, 매출 4억원, 특허 6건, 투자유치 10억(3건)의 성과를 냈다.
○ 또 세종대(빅데이터인공지능(AI) 분야)는 AI 기술 지원 및 컨설팅을 필요로 하는 스타트업 ㈜리틀캣에 반려견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을 위한 개 품종 자동분류 AI모델의 기술 지원을 했다. 이를 통해 매출 4억원, 미국 네슬레 퓨리나, 독일의 3P사와 업무협약 체결 등 글로벌 진출을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딛을 수 있도록 했다.
○ 이와함께 연세대(글로벌 진출 분야)는 교내에 구축된 DFK(Design Factory Korea)를 통해 국내 최초 스테이크 대체육 생산 기업인 ㈜천년식향에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인 대상 블라인드 관능평가 실증을 지원, 도출된 문제를 개선한 신모델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올해 특허 18건과 전국민 창업 오디션 우수상 등 경진대회 및 공모전에서 14건의 수상실적을 거뒀다.
○ 유타대(글로벌 바이오 분야)는 CMI(Center For Medical Innovation)와 연계해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는 바이오 분야 스타트업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전략 수립과 510(K) 서류작성을 지원했다. 510(K)는 제품 시판 전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폐쇄형 약물전달장치(Closed System Drugs Transfer Device)를 개발한 (주)에스티에스바이오는 올해 FDA 510(K) 승인 결과를 기다리고 있으며 더불어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20만 달러 수출 계약을 맺었다.
○ 인천대(스마트시티 분야)는 포스코이앤씨와 협력, 스마트시티 분야 스타트업인 ㈜라스트마일의 실내 주차장 원격 시공관리를 위한 작업기록 서비스 플랫폼 실증 지원을 추진했고 이를 통해 국토부 창업아이디어 공모전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 인하대는 인하대병원과 연계해 바이오 분야 스타트업의 제품·서비스에 대한 전임상(동물) 실험을 지원했다. 인하대와 신약 시험물질의 신장병 개선 효과에 대한 실증 효력시험을 진행한 ㈜레나투스는 실증을 통해 신장병증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해외특허 6건 출원, 국내특허 2건을 등록했다.
○ 청운대는 교내에 구축된 DTC(Design Thinking Center)에서 스타트업 브랜딩 및 제품·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무전원 휴대용 비데를 비즈니스 모델로 하는 ㈜멋진여성에 브랜딩 및 디자인을 도와 신제품인 ‘Leant’ 출시 및 장애인 창업 아이템 경진대회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 세계여성발명왕대회 세미그랑프리를 수상하는 성과를 냈다.
○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이 프로그램은 관·산·학·연이 협업해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인천스타트업파크의 대표적 지원 프로그램”이라며 “협력기관들과의 공동과제 발굴·협업을 통해 스타트업이 성장할수 있는 기반을 확대하는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